▶ 태양 주기에 관한 이야기 (두 번째 이야기)
2. 태양 주기의 효과
태양의 자기장은 태양 대기와 바깥 층을 모두 코로나를 통하는 방식으로 태양풍으로 내보낸다고 합니다. 그것의 시간과 공간에 따른 변화는 총체적으로 태양 활동이라고 알려진 현상의 장본인입니다. 태양 활동의 모든 것이 태양 자기장 주기에 따라 강하게 변동합니다. 왜냐하면, 후자가 전자에 대하여 어네지원과 동력원의 역활을 하기 때문입니다.
1) 표면 자기장
흑점은 어디에서든지 몇일에서 몇 달 동안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흑점은 결국 소멸하고 이는 태양 광구에 자기장 선속을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자기장은 분산되고, 난류성 대류와 큰 규모의 흐름에 의해서 마구 섞입니다. 이러한 수송 메커니즘은 고위도 지역에서 자화되어 사라진 산물들이 자기장 양극의 극성을 역전시키면서 쌓이게 만듭니다.
태양 자기장의 안녕 쌍극자 요소가 태양 극대기 시기 부근에서 극성을 역전시키는 것이 관측되고, 그 요소는 태양 극소기에서 최댓값을 갖는 봉우리에 도달합니다. 한편, 흑점은 태양 내부에서 생긴 토러스형의 자기장으로 부터 형성됩니다. 물리적으로 태양 주기는 토러스형 자기장 성분이 플로이달 자기장을 만드는 재생하는 고리로써 생각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시 원래의 토러스형 자기장의 극성을 역전시키는 것과 같은 새로운 도넛 모양 신호 성분들 만듭니다. 그리고 나서 역전된 극성의 새로운 플로이달 성분을 만들어냅니다.
2) 태양 방사선
총 태양 방사선량은 지구의 상츠애기로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입니다. 태양 방사선의 변화는 1978년 말 위성관측이 시작될 때까지 관측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1970년대부터 ~ 2000년대 까지 인공위성의 라디오미터는 태양 방사선량이 11년의 흑점주기에 따라 총 방사선량에서와 방사선량의 상대적인 성분 두가지 모두에서 체계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태양광도는 태양 극대기에서 태양 극소기에서보다 0.07 퍼센트 더 밝아지지만 2000년대 우주선의 관측은 가시광선량 대비 자외선량의 비율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 보다 훨씬 더 변화가 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인공위성 관측의 주요 발견은 태양 방사선량이 태양 자기 활동 주기와 함께 위상 측면에서 진폭이 약 0.1% 정도, 평균 약 1366 W/m 제곱 정도 변한다는 것입니다. -0.3%까지의 평균에 대한 변화는 큰 흑점군에 의해 0.05%의 평균에 대한 변화는 일주일에서 열흘의 시간규모에서 큰 백반과 밝은 연결망에 의해 변합니다.
인공위성이 관측한 수십년에 걸친 태양 방사선량의 변화는 작지만 탐지할 수 있는 경향성을 보여줍니다.
흑점이 보통의 광구에서 보다 더 어두울지라도 태양방사선량은 태양 극대기에서 더 큽니다. 이는 태양 극대기때의 흑점이외에도 백반, "밝은" 연결망의 활동적인 요소 같은 자화된 구조들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 구조들은 총체적으로 온도가 더 낮지만 더 적은 수의 흑점과 관련된 방사량의 손실을 메꾸려고 합니다. 태양 자전과 흑점 주기 시간 규모에서의 태양 방사선량의 변화를 주도하는 주요 원인은 활발한 태양 자기장 구조의 변화하는 광구의 보급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오늘도 장문의 글 정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뵙도록 하겠습니다.
'천문학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 주기에 관한 이야기 (0) | 2020.07.26 |
---|---|
별의 진화에 관한 이야기 (0) | 2020.07.25 |
혜성에 관한 이야기 (두 번째 이야기) (0) | 2020.07.24 |
혜성에 관한 이야기 (0) | 2020.07.22 |
유성에 관한 이야기 (별똥별에 관한 이야기) (0) | 2020.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