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원과 용어
천문학의 영어 낱말 astronomy 은 별을 의미하는 astron (ἄστρον)과 법칙, 문화를 뜻하는 nomos (νόμος)에서 유래했는데, 문자 그대로 "별의 법칙"(또는 별의 문화)를 의미한다.
천문학은 점성술학(인간의 사건이 천체의 위치와 연관이 있다고 주장하는 믿음 체계)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두 분야가 공통된 근원을 공유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제 완전히 구별된다.
▶천문학이란?
천문학은 별이나 행성, 혜성, 은하와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의 바깥쪽으로 부터 비롯한 현상 (예를 들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다.
현재 민간에서는 전래되어 오는 몇개의 별자리 이름이나 그의 얽힌 전설, 또는 몇 개의 별의 이름이나 미리내라고 하는 은하수에 대한 고유명들을 볼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도 중국의 천문 사상과는 관련이 없는 특유한 천문학적인 지식이 발달되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우주의 시작 및 진화, 천체의 운동, 물리, 화학, 기상, 진화 등을 그 연규 대상으로 한다
천문학은 인간이 하늘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면서 가장 일찍 태동한 학문 중의 하나 이다. 선사 시대의 여러 문명들은 피라미드, 스톤 헨지 같은 천문학적 유물들을 남겼으며, 바빌론, 그리스, 중국, 인도, 이란, 마야 문명 같은 동서양의 초기 문명들은 밤하늘에 관한 많은 관측 기록을 남겼다. 그러나 망원경이 발명됨으로써 천문학은 현대 과학으로 발전을 하였다. 역사적으로 천문학은 측성학, 역법, 천체 항법, 그리고 심지어 점성술까지 수많은 분야들을 포함했었는데, 현대의 천문학은 보통 천체물리학을 의미한다.
20세기에 들어와 천문학 분야는 관측 분야와 이론 분야로 크게 나뉘었다. 관측 천문학은 천체에 대한 자료를 얻고, 이를 물리적으로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며, 이론 천문학은 천체와 천문학적 현상들을 컴퓨터나 해석적인 바법으로 설명하는 모형을 세우는 것을 추구한다, 이 두 분야는 상환 보완적이며, 이론 천문학은 관측 결과를 설명하는 틀을 제공하고, 관측 천문학은 이론 결과를 확증해 주는 역할을 한다.
천문학은 여러 자연과학 분야 주 아마추어들의 공헌이 아직도 큰 분야 중의 하나이다. 아마추어 천문 학자학자들은 특히 혜성, 소행성, 초신성 같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현상들을 발견하고 관측하는 데 중요한 공헌을 하고 있다.
천문학은 점성술과 혼동 되어서 안된다. 비록 점성술은 천문학과 같은 뿌리에서 나왔지만, 현재는 완전히 다른 분야이다. 점성술은 천체들의 하늘에서의 위치가 인간의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신념체계로서 자연과학의 범주에 들지 않는다.
오늘은 천문학이란 무엇인가를 용어와 함께 정리하여 설명 드렸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천문학과 천체 물리학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장문의 글 정독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천문학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문학의 종류 (두번째 이야기) (0) | 2020.05.26 |
---|---|
천문학의 종류 (첫번째 이야기) (0) | 2020.05.25 |
천문학의 기원과 역사 (두번째 이야기) (0) | 2020.05.24 |
천문학의 기원과 역사 (첫번째 이야기) (0) | 2020.05.23 |
천문학과 천체물리학 (0) | 2020.05.22 |